아카이빙

춘천마임축제, 지금까지의 역사를 한눈에 보다.

30년이 넘는 역사를 통해 대한민국 대표축제, 그리고 아시아를 넘어 세계 3대 마임축제로 우뚝 솟은 춘천마임축제의 역사를 보여드립니다.

2015 춘천마임축제

  • 기간 : 2015.05.24.(일) ~ 05.31.(일)
  • 장소 : 중앙로, 축제극장몸짓, 춘천문화예술회관, 공지천 의암공원, KT&G 상상마당 춘천, 수변공원, 소양댐 등
  • 주최 : (사)춘천마임축제, 한국마임협의회, 춘천MBC
  • 주관 : (사)춘천마임축제 운영위원회
  • 후원 : 문화체육관광부, 춘천시, 강원도, 한국관광공사, KT&G상상마당, 코레일
  • 협찬 : 하이원리조트, 웰컴투춘천추진협의회, 신한은행, 우리은행, 더존, 수자원공사, PREMIER OB, 청호나이스, 비코닉스, 강원대학교, 한림대학교

“쉿! 오직 몸으로만극한을 향한 질주!"
마임예술의 대중화를 위해 시작된 춘천마임축제는 마임 예술 장르를 넘어 집단적 몸짓과 물, 불의 난장을 선보이며 예술성과 축제성이 공존하는 독특한 축제 프로그램을 선보였습니다. 2011년 이후, “태초에 몸이 있었다”를 주제로 원초적, 본능적 느낌의 ‘몸’ - 몸이 뿜어내는 본능적 욕구, 말로 표현할 수 없는 느낌에 주목해 왔으며 신체언어로서의 ‘몸’을 넘어 몸, 그 자체가 가진 원초적 생명력과 본능적 느낌, 그 야생성에 주목해 왔습니다. 2015년 춘천마임축제는 몸과 몸이 만들어내는 움직임, 그 모든 ‘짓’에 주목합니다.

품위 있는, 격조 높은 몸짓, 뒤틀린, 추한 몸짓, 우스꽝스러운, 재미있는 몸짓, 시선에 구애받지 않는 자유로운 몸짓 등세상의 모든 몸짓을 때론 광대의 몸짓으로, 때론 춤 짓으로, 때론 놀이 짓으로때론 모두가 함께하는 대동의 몸짓으로 풀어내고자 합니다. 2015년 우리의 몸짓은 새로움을 향한 극단의 지점으로 향한 질주가 됩니다. 난장 및 모든 공연 프로그램은 예년과 다른 새로운 색깔이 입혀집니다. 그 새로움은 다른 것과의 ‘교섭:통합’을 통한 새로움이 아닌, 각 프로그램이 갖고 있던 특색과 콘셉트로“몸, 움직임, 이미지, 예술, 놀이, 물, 불”의 끝점을 관통할 수 있는 지점, 극한을 향한 질주를 통해 새로움을 찾을 것입니다.

2015 춘천마임축제 포스터

2015 프로그램

  • 난장
    • 아!水라장
    • 미친금요일
    • 도깨비난장
  • 극장공연
  • 기획프로젝트
    • 도깨비어워드
    • 몸짓배우 몸꾼 프로젝트
    • 컨퍼런스
    • 불의도시
    • 춘천의 영웅이 되어주세요
    • 공간설치 프로젝트
  • 부대프로그램
    • 페스티벌클럽
    • 아!휘까페
    • 아!라디오
    • 몸짓놀이터
    • 마임몰
    • 사일런트무비
    • 컬러링로드

2015 아티스트

  • 13일 / ‘제안과 제한’
  • 4+ / ‘요코하마에서의 춤’
  • ETF 프로덕션 (영국) / ‘에릭 더 프레드‘
  • Physical Theatre 박장대소 / ‘킬링타임’
  • PTL 류블라나 댄스 시어터 (슬로베니아) / ‘살아있는 부처, 툴쿠의 꿈’
  • 강성국 / ‘가야한다’
  • 건축농장 / ‘불의도시;생명의 질주’
  • 김성아/낯선사람 / ‘괴물이 날뛰는 피의 축제’
  • 극단 달리는 몸짓공장 달마 프로젝트 / ‘달가와 마뇨의 보이는 라디오’
  • 극단 더해프닝쇼 / ‘더해프닝쇼’
  • 극단 마음같이 / ‘어머니의 품 아리랑’
  • 꼼빠니아 람판떼 (아르헨티나) / ‘텐트’
  • 다이나믹미디어씨어터 / ‘음모(陰謀)’
  • 대동전위극회 / ‘남남북녀 통일 아리랑’
  • 대현 with 조씨 / ‘설레던, 혹은 아련한 순간’
  • 라퍼커션 / ‘라퍼커션 삼바파티’
  • 루비레코드&스테이지6 / ‘고스트 댄스’
  • 마블러스모션 / ‘마블러스모션 코믹마임’
  • 마술사 정슬기 / ‘작전명 탈출’
  • 마임공작소 판 / ‘마임쇼’
  • 마트 / ‘더 마트쇼’
  • 몸더쿵 시니어마임극단 / ‘生 生아름다운 생’
  • 몸짓배우 몸꾼
  • 베트남 유스 씨어터 (베트남) / ‘돌아온 마임’
  • 비주얼 아트 연구소 / ‘포스트맨’
  • 빌보바쏘 (프랑스) / ‘푸에고 렌토’
  • 상상발전소 / ‘전구인간_물세탁’
  • 서승아/부토천공요람 / ‘서승아의 지신무:흙은 생명이다’
  • 서울괴담 / ‘환상통;로’
  • 스톤앤워터 / ‘실험사진 행위예술단’
  • 씨드댄스프로젝트그룹 WelCome / ‘웰컴(W.C)’
  • 아뻬 버티컬시어터 (프랑스) / ‘아마도, 어쩌면…’
  • 아스팔트 씨어터 (이스라엘) / ‘아스팔드 엑소더스’
  • 아웃워크 / ‘신발(침묵의 리듬)’
  • 아크로부포스 (미국) / ‘물폭탄!’
  • 안산청소년극단 고등어 / ‘소나기’
  • 양병현 / ‘상상 공상 공상상’
  • 언엔딩 / ‘미(美)’
  • 엔토모 EA&AE (스페인) / ‘엔토모’
  • 엠엠패밀리 / ‘무지개 손’
  • 연희집단 The광대 / ‘걸어산:꽃놀이편’
  • 예술불꽃 화랑 / ‘호반의 꽃’
  • 오이카도 이치로 (일본) / ‘카파’
  • 온앤오프 무용단 / ‘스텝 바이 스텝’
  • 유랑달팽이 / ‘이동식 핍 쇼! <마담의 홀>’
  • 유지영 / ‘인체도’
  • 유진규 / ‘빈 손’
  • 유해랑 / ‘잔해’
  • 이경식 / ‘엠 엔 엠’
  • 이름없는 공연 / ‘존재하는 평화를 향해’
  • 이수영 / ‘활의 목소리’
  • 이정훈 / ‘미친새’
  • 이태원/레세페르 / ‘죽지 않은 것들을 위한 레퀴엠'
  • 이해경 / ‘황해도 만신 이해경의 축원 굿’
  • 정도형 / ‘그림자’
  • 정선호 / ‘핑거스타일 기타 연주’
  • 조영민 / ‘눈을 감다’
  • 징모 / ‘MY FAVORITES’
  • 차타 (일본) / ‘차타쇼’
  • 창작중심 단디 / ‘사색’
  • 천하제일탈공작소 / ‘짓:탈짓-몸짓-별의별짓’
  • 최명현 /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
  • 최정산 / ‘개새끼들’
  • 쾅프로그램 / ‘불꽃, 꿈, 폭소’
  • 클라운 진 / ‘벌룬매직 코믹쇼’
  • 팀클라운 / ‘안동윤씨의 “경상도 비눗방울“’
  • 파이어밴딧 (일본) / ‘파이어쇼’
  • 판토마임팩토리 / ‘키다리 마임쇼’
  • 판토스 / ‘어린, 왕자’
  • 팜시어터 / ‘달콤한 나의 집’
  • 프로젝트 루미너리 / ‘Pulse ;맥’
  • 플레이밍 파이어 / ‘플레이밍 파이어 갈라나잇’, ‘태양의 조각’, ‘불의 신전’
  • 하수민/즉각반응 / ’12시부터 1시까지의 진경’
  • 한혜민 / ‘비행공포’

연도별 축제 바로가기

1989년

1990년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