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빙
춘천마임축제, 지금까지의 역사를 한눈에 보다.
30년이 넘는 역사를 통해 대한민국 대표축제, 그리고 아시아를 넘어 세계 3대
마임축제로 우뚝 솟은 춘천마임축제의 역사를 보여드립니다.
제 6회 한국마임페스티벌
- 기간 : 1994년 05월 11일 - 05월 14일
- 장소 : 춘천문화예술회관, 국민생활관, 적십자사강당 외
- 주최 : 한국마임협의회, MBC춘천문화방송
- 주관 : 94 한국마임페스티벌 집행위원회
- 후원 : 강원도, 춘천시, 강원일보사, 강원도민일보사
- 협찬 : 동부증권
- 기획지원 : 한결문화예술사업단
1994 프로그램
- 길놀이
- 야외공연, 어린이마임, 극장공연, 거리마임
- 전야제
- 공개 심포지엄
- 마임강습회, 마임비디오상영
1994 아티스트
- 고재경 / ‘베를린 장벽’
- 고지마야 만스케 극단 (일본) / ‘빙글빙글 도는 머리’
- 구자룡 / ‘헤어디자인 쇼’
- 김대환 타악기 연주 / ‘묵우’
- 김동수 / ‘또또의 일기’
- 마임그룹 사다리 / ‘가면마임 ‘햄릿‘’
- 무세중·이나미 굿판 / ‘흰피, 붉은 강’
- 박상숙 / ‘남과 여(긴장의 구조)’
- 사회문화연구회 / ‘놀이패 한사위’
- 손동완 / ‘자살’
- 손심심 / ‘김수악류 전통굿거리’
- 시미즈 기요시 (일본) / ‘가면’
- 심우성 / ‘남도 들노래’
- 심철종의 행위예술 / ‘즉흥적인 움직임’
- 우정호 / ‘서있는 사람들’
- 울림터 / ‘동래학춤’
- 유진규 / ‘아버지와 아들’
- 유진규네 몸짓 / ‘굶는 광대’, ‘이상한 몸짓들’
- 이건동 / ‘돈’
- 이영란 물체 / ‘나와 밀가루’
- 정은선 / ‘마술쇼’
- 조성진 / ‘나무의 꿈’
- 쥬드 모안 (미국) / ‘카메라 쇼’
- 최규호 / ‘신나는 연주’
- 최청 / ‘우어리’
- 판토스 / ‘시간’
연도별 축제 바로가기